반응형

윤대협 실사판이란 명칭을 받았던 농구선수

대한민국 국적

포워드 포지션을 가진 농구선수로

한 때 윤대협과 농구 스타일

비슷하다는 이유로

엄청난 기대감을

갖게 만드는 선수였으나

아마 시절과 달리

프로에서는 빛을 발하지 못하면서

비운의 선수로 남게 되었다.

 

2m의 가까운 키

드리블이 좋고 빠른 돌파 능력과 함께

엄청난 탄력으로

호쾌한 덩크까지 터트릴 수 있는

화려함의 플레이어였으나

기대와 달리

BQ가 떨어진다는 점, 그리고

아마 무대와 달리

용병들이 있는 프로 무대에서는

한계를 보이면서

성공하지 못한 케이스가 되었다.

 

 

 

 

 

최고의 전성기(?) 대학 시절

무서울 것이 없었던 시절

본래 야구선수였고

빠르게 포기를 하며 일반적인 고교생활

하던 도중에

박성근 감독의 권유

정말 뒤늦게

농구선수의 꿈을 꾸기 시작.

 

키도 크고

일단 센스가 좋다는 점에서

그는 금방 적응하고

고등학교를 대표하는 농구선수가 되면서

유명해졌고
자신을 발굴했던

박성근 감독이

낙생고로 옮기게 되면서

정훈 역시 전학을 선택했다.

 

.

.

.

 

이한권, 진경석과 함께

낙생고 3인방으로 불리며 활약했고

역시나 은사였던

박성근 감독이

약체로 평가받고있던

성균관대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면서

더 네임벨류있는

대학도 가능했던 정훈은

의리(?)를 선택하며

성균관대 진학.

 

연세대, 고려대, 중앙대 등

기라성 같은 실력을 가진 대학선수들이

속해있는 팀들에게

계속 패하며

이르게 탈락하던 성균관대는

비로소 정훈이

4학년 시절,

2001년 MBC배 대학농구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꿈을 이루었다.

 

.

.

.

 

당시 정훈은

팀의 에이스 역할을 맡아

최고의 활약을 보이며

기대감을 일으켰고

특히 큰 신장에도 드리블이 유려하고

빠른 돌파

덩크까지 터트릴 수 있는

그의 플레이를 보며

윤대협 실사판이 나타났다는 평가까지

나올 정도였다.

 

다만, 여기에서도

분명하게 해두어야할 점은

그는 가드가 아닌 포워드라는 사실인데

드리블이 좋은 선수였으나

윤대협처럼

장신 가드는 아니고

확실히 포워드 자원으로 분류되며

수비에서도

큰 신장의 4,5번을

수비하는 비중이 높은 편.

 

2001년 오사카에서 열린

동아시안게임 예선전에서 대표로 선발되어

왕즈즈와 야오밍이

버티고있는

중국 대표팀을 꺾는데

활약했으며

그 떄의 활약으로

정훈의 프로 진출 후, 활약에 대해

기대하는 팬들은

더욱더 많아졌다.

 

 

 

 

 

 

전체 2순위 지명, 하지만.....

드래프트까지는 좋았으나....

2002년 KBL 신인 드래프트에 참가하여

1순위 김주성에 이은

2순위로 지명되어

울산 모비스 유니폼을 입었다.

 

루키 시즌에는

약 20분 내외의 출전시간을 

기록하며 준주전급으로 활약했는데

용병 2명을 제외하고도

전형수, 우지원 등

이미 주전 자리가 정해져있는 모비스에서

후보로 나오면서

5점의 평균득점과 함께

2순위 지명에 비해

조금은 아쉬운 성적을 보였는데

놀랍게도 이 때의 기록이

정훈 프로 커리어에서

두 번째로 가장 좋은 기록으로 남는다...ㄷㄷㄷ

 

 

 

 

 

암울의 시작, 동부 시절

원주 시절, 남는 건 덩크 뿐이다

울산 모비스는

김동우를 신인 픽으로 얻게 되면서

포워드 라인에

김동우-정훈 조합

기대하는 언론들이 존재했으나

 

개막전에서

1:2 트레이드 형식으로

정훈이 원주로 트레이드 되었고

당시 감독이었던

전창진이

그를 열정적으로

원했다는 후문.

 

.

.

.

 

하지만.

그것은 전창진감독과 정훈 모두에게

잘못된 만남이 되었고

일단 베스트5가

꾸려졌던

원주에서 정훈이 뛸 수 있는 시간은

제한적이었고

정훈 스스로

BQ 자체가 높은 유형은

아니라는 점에서

전술을 누구보다 중요시 여기는

전창진 감독과

궁합이 좋지 않았다.

 

더불어

아마 시절과 달리

용병들이 즐비한 골밑에서

정훈은 소극적인 자세로 임하게 되면서

공격을 마무리 짓지 못하고

주저하거나

패스만 하는 루틴

지속적으로 반복됨에 따라

스탯도 떨어졌고

오프 더 볼 자체도 좋은 편이 아니라

계속 맴도는 느낌.

 

.

.

.

 

상무 입대와 함께

아마추어 시절, 그와 함께 뛰었던 선수들과

다시 만나게 되면서

정훈은 부활한 모습을 보였고

용병도 없는 무대에서

팬과 감독이

기대하던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하면서

드디어 포텐을

터트리나 싶었.....

 

제대와 함께

국가대표로 자리를 비운

김주성을 대신하여

전창진 감독은 정훈을 활용할 계획이었으나

기대이하의 모습을 보이며

주전에서 밀렸고

결국 정훈은

3:3 트레이드를 통해

다시 한 번 팀을 옮기게 되었다.

 

 

 

 

 

허재의 아픈 손가락, KCC 시절

정훈, 서장훈, 하승진이 모두 한 팀

3:3 트레이드의 핵심

허재가 정훈을 포워드 자원으로

활용하기위해 데려오고

오히려 가드진이 부족했던 전창진 감독이

표명일을 원했던 것.

 

결과론적으로 보자면

정훈은 최악의 부진을 보였고

반면, 표명일

거의 주전급 가드로 거듭나게 되면서

상반된 결과를 낳았다.

 

.

.

.

 

정훈은 첫 합류 시즌에는

허재 감독에게 어느정도 중용을 받으며

7.6점과 3.4 리바운드를 기록,

자신의 프로 커리어에서

가장 좋은 스탯을 남긴 시즌이 되었는데

팀 성적이 하위권이었고

추승균과 함께

출전시간이 가장 많았던

국내 선수로써는

사실, 좋은 성적이라 할 순 없는

평범한 정도의 성적.

 

07-08 시즌

FA로 서장훈이 팀에 합류했고

08-09 시즌

신인드래프트에서 하승진이 합류하게 되면서

국내 빅맨으로써

정훈의 출전시간은 더더욱

줄어들게 되었고

KCC가 우승을 차지하게 되면서

본인 커리어에

우승 반지를 추가했으나

활약도는 거의 0과 같은 수준.

 

08-09 시즌을 끝으로

FA가 되어

KCC를 떠나 오리온스와 계약을 맺었고

기존 받았던 연봉보다

더 낮은 금액으로

사인을 했으니

그에게는 조금 아쉬운 상황이 되었다.

 

 

 

 

 

마지막 프로팀은 오리온스

D리그에서 더 많이 보였던 시절

4번 포지션으로

팀에서 분류되어 출전시간을 보장 받았으나

폼도 이미 떨어지고

일단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기량이 나오지 않았다.

 

더불어

부상까지 겹치게 되면서

팀 스쿼드에서 빠지는 경우가 많았고

부상 회복 후에도

D리그에서

뛰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전력외로 평가받는

수준이 되었다.

 

.

.

.

 

결국 09-10 시즌을 끝으로

현역은퇴했고

마지막 소속팀 오리온스에서 마지막을

함께했던 김남기 감독

정훈을 다그치는 것보다

부드러운 모습을 통해

정훈이 프로 마무리를 나름대로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으며

정훈 역시 인터뷰를 통해

김남기 감독에 대한 고마움을 표현하는 등

자신의 농구 커리어에서

고생했던 시절을

돌아보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했다.

 

 

 

 

 

정훈에 대한 TMI

 

 

 

01. 그는 정말 실사판 윤대협이었을까?

 

슬램덩크를 정주행했던

농구팬들이라면 정훈 선수의 플레이를 보며

과연 그가 윤대협과

정말 비슷한 플레이어였나?

의문이 들수도 있다.

이단, 190이 넘는 키에 가드로 분류되었던

윤대협과 달리

정훈은 포워드 자원이었다.

다만, 큰 키에도

드리블 스킬이 굉장히 좋은 편이었고

탄력을 이용해

경기 도중에도 덩크를

심심치않게 꽂아 넣어버리는 등

그러한 점만 본다면

윤대협과 분명 흡사한 면도 존재했던 선수였다.

물론, 그러한 가능성은

아마 시절에만

보여준 것이 흠이다.

 

.

.

.

 

02. 허재/전창진 감독에게 휘둘렸다(?)

 

뭐~ 이건 휘둘렸다는 표현이

조금은 재미를 가미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으나

정훈 선수 자체가

멘탈이 강한 선수가 아니였고

그러한 그에게

허재와 전창진 감독은

궁합이 맞지않을 수 밖에 없었고

주눅이 들어버린

정훈의 장점들이 더욱더

묻힌 경향이 없지않아 있지 않을까?

 

.

.

.

 

03. 야오밍의 중국을 이긴 바 있다

 

성균관대 재학 시절,

유망했던 정훈은 동아시안게임 대표팀에 합류하여

김주성, 양동근, 송영진 등과 함께

예선전에서 중국을 만나

승리를 거두었고

그 당시 야오밍과 왕즈즈가

속해있던 중국이었다.

 

.

.

.

 

04. 정훈이 KBL에 실패했던 이유는?

 

일단 자신감 결허이다.

아마 시절에는 신장이 크고 드리블도 좋아

자신의 플레이가 

정말 자유스럽게 가능했으나

프로 무대에서는

용병 선수들이

훨씬 더 뛰어난 기량과 운동능력을 통해

정훈의 자리를 위협했고

거기서 주눅 든

모습이 보이기 시작했다.

 

더불어, 당시 농구 스타일과

정훈은 맞지 않는 편이었고 결국

장점으로 여겨졌던

큰 신장의 가드와 같은

움직임과 플레이가

독이 되어버렸다.

그렇다고 정훈이 슈팅력을 가진

선수도 아니라는 점에서

애매한 사이즈로

포지션을 변경하여 슈터로 탈바꿈했던

이규섭과 차이를 보였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