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쏠쏠한 활약을 보여주었던 선수

대한민국 국적

파워 포워드 포지션을 가진 농구선수로

삼성, KT&G, 전자랜드에서

선수생활을 했으며

주전급이라

말하기는 애매한 출전시간이었으나

나올 때마다 쏠쏠하게

활약해주었으며

말년에는

보이스리더, 조력자 역할을

제대로 해내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03년 KBL 신인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8순위

지명순위가

굉장히 낮은 편이었으나

놀랍게도 그 해에

신인왕을 수상하며

낮은 순위로 뽑힌 것이 잘못되었음을

스스로 입증한 바 있다.

 

 

 

 

 

KBL 역대 낮은 순번 드래프트 신인왕

그의 프로 첫 팀은 삼성이었다

청소년대표 출신으로

이미 두각을 나타내었던 선수였고

고등학교 동료

현재까지

현역으로 활동 중인 오용준.

 

고려대에 입학해서

이규섭이라는 동포지션의 선배

버티고 있다는 점에서

주전경쟁이

쉽지 않았고

이시기에 대학농구는

연고대가 주름 잡는 것이 아닌

중앙대 세상이라

이현호 역시

개인적으로나 팀적으로

관심도가 높지 않았던 시절이었다.

 

.

.

.

 

2003년 KBL 드래트프에 참가했고

지금까지도

이 해의 신인 드래프트

최악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두각을 보인 선수가

없는 편이었는데

그 속에서도

이현호는 2라운드 8순위라는

굉장히 낮은 지명으로

서울 삼성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여담으로

1순위가 김동우였고

대학 시절, 포스있는 플레이를 보였으나

프로 무대에서는

부상과 애매한 포지션을 이유

아쉬운 행보를 보였다.

 

.

.

.

 

하지만 반전이 일어났고

이 해에 이현호가 신인왕을 받게 되었는데

로터리픽 선수들이

부진한 것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이현호는

팀내 에이스 서장훈이 부상으로

공백이 생긴 사이,

기회를 얻으며

꾸준하게 활약하기 시작했고

결국 그 해에

3.2점, 1.7리바운드로

모두의 예상을 깨고 

신인왕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는 신인으로써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는 했지만

그가 기록한 스탯으로

신인왕을 받는 게

사실상 기적(?)과도 같은 일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이 해의 드래프트가

역대 최악이라는 말이 지금까지도

오가는 이유가 되었다.

 

 

 

 

 

유도훈 감독과 함께한 안양 시절

터닝 포인트가 되었다

삼성에서

신인왕까지 받으며

승승장구 하는 듯 했으나 조금씩

시즌을 거듭하며

주전경쟁에서 밀렸고

다시 한 번

이규섭의 존재

그의 출전시간을 줄어들게

만들었는데

 

샐캡을 정리하려는

삼성은 트레이드를 통해 이현호를

안양 KT&G로 보내는데

이것이 이현호에겐

제대로 터닝포인트가 되었다.

 

.

.

.

 

유도훈 감독은

이현호를 중용하기로 마음 먹었고

이 당시 KBL 분위기는

용병선수의 

출전시간을 제한시키면서

국내선수들을 살려보자(?)라는 분위기

국내 빅맨들이

출전시간을 점점 더

늘려갈 수 있는 시기였다는 점에서

제대로 을 만났다.

 

투쟁심이 있고

궂은 일을 마다하지않는

이현호의 플레이는

유도훈 감독에게

제대로 어필이 되면서

그의 출전시간을 점점 더 늘어갔고

존재감을 발휘했다.

 

 

 

 

재회, 전자랜드맨으로써 활약

유도훈 감독을 다시 만나다

유도훈 감독이

안양을 떠나며 이현호는 다시

후보로 뛰던 도중,

운명이었을까?

김성철이 KT&G로 트레이드되는 

과정에서

카드로 함께 엮이며

이현호가 전자랜드로 이적한 것.

 

전자랜드 감독은

유도훈이었고

그렇게 자신을 중용했던 감독과

재회하게 되면서

다시 활약하기 시작했다.

 

.

.

.

 

전자랜드 소속으로

제대로 물을 만난 이현호는

올해의 수비수 베스트5(3회) 선정되고

10-11 시즌에는

식스맨상까지 수상하는 등

자신이 왜

신인왕을 받았던 선수였는 지를

입증하기 시작했고

 

11-12 시즌,

득점에서도 쏠쏠한 모습을

보여주는 등

좋은 활약을 통해

강력한 기량발전상 후보로 거론되었는데

응? 이 해에

어이없게도 기량발전상 자체가

폐지 되면서

상 자체를 수상은 못했다.

 

 

 

 

 

은퇴, 그리고 제2의 삶

제 2의 인생은 사업가

13-14 시즌 도중,

잠시 주장직을 맡으며 리더쉽을

발휘하기도 했으며

리카르도 포웰이 주장을 맡게 되면서

이현호는 오히려

플레잉코치가 되었다.

 

14-15 시즌 이후,

FA가 되면서 전자랜드와 2년 재계약

맺으며 활약을 이어갔고

15-16 시즌을

치르며 무릎이 심하게 안좋아지며

결국 그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를 선언했다.

 

.

.

.

 

전자랜드 측에서

그에게 곧장 코치직을 제안했으나

아버지의 사업을

물려받는다는 이유로

거절했으며

 

최근 소식에 따르면

아버지의 사업이 아닌 거기게 파생되어

본인의 사업체를 가지며

사업가로써

제 2의 인생을 살고있다고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